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OAuth2.0의 개념
    아무거나 찌끄리기 2024. 9. 4. 01:08

    OAuth2.0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표준 인증 프레임워크이다. 주로 사용자가 제3자 애플리케이션에 자신의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때 사용된다. OAuth2.0은 기존의 인증 방식보다 더 안전하고 유연한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.

     

    왜 OAuth2.0이 중요한가?

     

    • 보안성: 사용자 비밀번호를 제3자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하지 않고도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.
    • 유연성: 다양한 인증 흐름을 지원하여 모바일 앱, 웹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환경에 적용 가능하다.
    • 표준화: 많은 웹 서비스와 API에서 OAuth2.0을 표준으로 사용하여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.

     

    OAuth2.0의 구성 요소

    OAuth2.0에는 여러 주요 구성 요소가 있다.

    1. Resource Owner: 자원 소유자. 보통 사용자를 의미하며,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.
    2. Resource Server: 자원을 호스팅하는 서버이다. 사용자 데이터나 보호된 리소스를 저장하고 있으며, 액세스 토큰을 통해 접근을 허용한다.
    3. Client: 리소스를 접근하려는 애플리케이션이다. 사용자의 승인을 통해 리소스 서버에 접근한다.
    4. Authorization Server: 클라이언트에게 인증과 인가를 제공하는 서버이다. 액세스 토큰을 발급하고,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검증한다.

     

    OAuth2.0의 흐름 과정

    OAuth2.0의 흐름 과정은 크게 네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

    1. Authorization Request: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원 접근을 요청한다. 이 요청은 리디렉션을 통해 권한 부여 서버(Authorization Server)로 전달된다.
    2. Authorization Grant: 사용자는 권한 부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요청을 승인한다. 이때 권한 부여 코드(Authorization Code)가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된다.
    3. Access Token Request: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권한 부여 코드를 가지고 권한 부여 서버에 액세스 토큰을 요청한다.
    4. Access Token Response: 권한 부여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액세스 토큰을 발급한다.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이 토큰을 사용해 자원 서버에 접근한다.

     

    인가코드(Authorization Code)란 무엇인가?

    인가코드(Authorization Code)는 OAuth2.0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코드로,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요청을 승인할 때 발급된다.

    • 안전한 통신: 인가코드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권한 부여 서버와 직접 통신하여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는 중간 단계에서 사용된다.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권한 부여 서버 간의 직접적인 비밀번호 전달 없이 보안성을 높인다.
    • 짧은 유효 기간: 인가코드는 짧은 유효 기간을 가지며, 사용된 후에는 만료된다. 이를 통해 보안 위협을 줄인다.

    인가코드의 흐름

    1.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요청: 권한 부여 서버로 리디렉션된다.
    2. 권한 부여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 및 승인: 인가코드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.
    3.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인가코드를 권한 부여 서버에 제출: 액세스 토큰을 요청한다.

     

    실제 사례: 네이버와 카카오의 OAuth2.0 활용

    OAuth2.0은 많은 웹 서비스와 API에서 사용되고 있다. 예를 들어, NAVER, KAKAO, GOOGLE등은 OAuth2.0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처리한다.

     

    네이버 OAuth2.0 활용

    • 네이버 로그인: 사용자가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. 로그인 후 인가코드를 발급받아 액세스 토큰을 얻고, 이를 통해 네이버의 다양한 API에 접근한다.
    • API 접근: 네이버의 검색, 뉴스, 쇼핑 등 API를 OAuth2.0을 통해 인증하고 호출한다.

    카카오 OAuth2.0 활용

    • 카카오 로그인: 카카오 계정을 이용해 웹사이트나 앱에 로그인할 수 있다. 로그인 후 발급된 인가코드를 사용하여 액세스 토큰을 받고, 이를 통해 카카오의 API를 사용할 수 있다.
    • API 접근: 사용자 프로필,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카카오 API를 OAuth2.0으로 인증하여 호출한다.

    이처럼 OAuth2.0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과 데이터 접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