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배열( push(), unshift(), pop(), shift(), indexOf(), lastIndexOf() )
    코드 찌끄리기 2024. 7. 14. 01:40

    부트 캠프를 하면서 배열에 대해 배우고 다루는 법을 배우는데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.
    근데 자주 쓰면 기억을 하고 있겠다만 아직은 잘 모르기에 매번 검색하는 것도 귀찮아서 내가 보려고 저장해둬야겠다.

    // *****push() - 배열의 끝에 하나 이상의 요소를 추가하고 배열의 새로운 길이를 반환(원본 배열을 변경함)
    let fruit = [];
    
    fruit.push('사과');
    console.log(fruit); // ['사과']
    
    fruit.push('바나나');
    console.log(fruit); // ['사과', '바나나']
    
    fruit.push('딸기', '오렌지');
    console.log(fruit); // ['사과', '바나나', '딸기', '오렌지']
    
    console.log(fruit.length); // 4
    
    /*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/
    
    // *****unshift() - 배열의 맨 앞쪽에 요소를 추가하고 배열의 새로운 길이를 반환(원본 배열을 변경함)
    let animal = [];
    
    animal.unshift('강아지');
    console.log(animal); // ['강아지']
    
    animal.unshift('고양이');
    console.log(animal); // ['고양이', '강아지']
    
    animal.unshift('햄스터', '고슴도치'); // ['햄스터', '고슴도치', '고양이', '강아지']
    console.log(animal);
    
    console.log(animal.length); // 4
    
    /*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/
    
    // *****pop() -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제거하고 그 요소를 반환(원본 배열을 변경함)
    let sports = ['야구', '축구', '수영', '탁구'];
    
    let removeSports = sports.pop();
    console.log(removeSports); // 탁구
    console.log(sports); // ['야구', '축구', '수영'];
    
    removeSports = sports.pop();
    console.log(removeSports); // 수영
    console.log(sports); // ['야구', '축구'];
    
    console.log(sports.length); // 2
    
    /*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/
    
    // *****shift() - 배열의 첫번째 요소를 제거하고 그 요소를 반환(원본 배열을 변경함)
    let dessert = ['케익', '과자', '과일', '커피'];
    
    let removeDessert = dessert.shift();
    console.log(removeDessert); // 케익
    console.log(dessert); // ['과자', '과일', '커피']
    
    removeDessert = dessert.shift();
    console.log(removeDessert); // 과자
    console.log(dessert); // ['과일', '커피']
    
    console.log(dessert.length); // 2
    
    /*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/
    
    // *****indexOf() - 배열에서 지정된 요소의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
    // 해당 요소가 배열에 없으면 -1을 반환
    let color = ['빨강', '파랑', '노랑', '초록', '보라', '검정', '주황', '보라'];
    
    let colorGreenIndex = color.indexOf('초록');
    console.log(`초록의 indexOf : ${colorGreenIndex}`); // 3 - index는 0번째부터 시작하므로 "초록"은 배열의 세 번째 요소에 위치
    
    let colorPurpleIndex = color.indexOf('보라');
    console.log(`보라의 indexOf : ${colorPurpleIndex}`); // 4 - index는 0번째부터 시작하므로 "보라"는 배열의 네 번째 요소에 위치
    // 보라는 4, 7에 있지만 값이 4인 이유는 indexOf는 배열의 첫 번째로 나타나는 인덱스를 반환한다.
    
    // 7번의 보라를 나타내려면 lastIndexOf를 사용
    let colorLastPurpleIndex = color.lastIndexOf('보라');
    console.log(`보라의 lastIndexOf : ${colorLastPurpleIndex}`);
    
    let colorGrayIndex = color.indexOf('회색');
    console.log(`회색의 indexOf : ${colorGrayIndex}`); // -1 - 배열에 "회색" 요소가 없으므로 -1을 반환

    '코드 찌끄리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filter() 메서드  (0) 2024.08.07
    Styled Component  (1) 2024.08.07
    SCSS 개념 정리  (1) 2024.08.06
    React 컴포넌트의 생명 주기 개념 정리하기  (0) 2024.08.01
    Math  (1) 2024.07.14
Designed by Tistory.